마리오 파티를 하기 위한 접대용 조이콘 구성. 조이콘 물량이 없어 예전에 비하면 비싸게 구매했다. 게임을 하는 데는 아무래도 조이콘보다는 프로콘이 편하겠지만, 닌텐도는 주로 지인들과 즐길 때가 아니면 켜지 않을 것 같아 여러 용도로 사용가능한 조이콘을 구매했다. 여유가 생기면 프로콘으로 젤다도 꼭 한 번 클리어 해보고 싶다.
결혼식을 앞두고, 청첩장을 돌리기 위해 휴가를 내어 방문한 창원. 20살 무렵에는 그저 번잡한 서울이 싫었고, 어느덧 그 번잡함에 익숙해져갈 무렵부터는, 어딘가 발전없이 정체되어 있는 듯한 고향에 무관심해졌다. 조금은 느리게 흘러가는 고향의 속도를 좋아하게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이다. 나이가 들면서 생의 뿌리를 내린 곳은 생활의 터전인 서울이 아니라 유년기를 보낸 고향 창원이라는 생각이 든다. 1년에 세네번 남짓 찾는 고향이지만, 갈 때마다 늘 포근히 품어주는 느낌을 받는다. 특히 겨울은 더 그러한데, 매서운 서울의 칼바람에 비해 창원은 새해와 함께 봄이 찾아오는 듯한 기분마저 들 정도다. 귀산은 아버지께서 평생을 일하신 직장이 있다. 낮의 육중한 기계소리가 가시고 나면 밤에는 집어등을 환하게 켠 어선의 ..
어김없이 흐린 하루. 숙소가 지하였던 터라 며칠 째 잔뜩 습기를 머금은 외투가 눅진하게 온 몸을 휘감는 듯했다. 그래도 얼마 남지 않은 런던. 늘상 그렇듯, 주변 산책으로 하루를 시작했다. 어디를 가볼까 고민하다가, 런던에 왔으니 미술관도 한 번 가보자는 마음으로 테이트 모던에 가기로 결정했다. 테이트 모던은 밀레니엄 브릿지 남단 뱅크사이드 지역에 위치한 미술관인데,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과 함께 세계적인 명성을 가진 곳이다. 특이한 점이 있다면, 산업혁명 시대의 공장건물을 멋들이지게 리모델링해서 미술관 건물로 쓰고 있다는 것. 더군다나 입장료도 무료라니 금상첨화였다. 출발 전, 여느 때와 같이 핌리코역 주변을 산책하고 있었는데, 어디선가 자주 보았던 건물이 눈에 들어왔다. 007 시리즈에서 익히 보아왔던..
직장 동료들과 계곡물에 발 담그고 백숙이나 한 끼 먹자며 찾은 곳이다. 가평에는 많은 산수 좋은 계곡이 있지만, 이 중 특히 서울에서 가까운 계곡을 꼽자면 역시나 유명산 어비계곡을 꼽을 수 있다. 어비계곡은 양평과 가평 사이 어비산 기슭에서 시작되는 계곡이 유명산자락까지 이어진다. 가인만당은 어비계곡 입구에서 약 5분 정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솥뚜껑 닭볶음탕으로 유명한 민남기집에서 멀지 않은 곳. 가인만당에서도 닭볶음탕을 판매하고 있다. 가인만당은 대략 15대 이상 차량 주차가 가능한 넓은 주차장을 갖추고 있고, 주차장 주변으로는 꽤나 수령이 되어 보이는 큰 나무가 있어 쉬기 좋은 그늘이 진다. 계곡물은 성인 기준으로 허벅지 정도 깊이로, 아이들이 놀기에 좋은 수심이다. 물론 계곡의 수량은 날씨에 따..
런던에 왔으니 대영박물관은 한 번 가봐야되지 않겠나 싶었다. 하루를 꼬박 둘러보아도 다 둘러보기 힘들다니, 이 날만큼은 조금 서둘러 숙소를 나섰다. 하루 종일 날씨가 우중충했는데, 사실 첫날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의 날이 흐리거나, 비가 왔다. 우리나라와 달리 런던 시민들은 가벼운 비에는 우산을 쓰는 일이 드물었다. 때로는 거센 장대비가 내리는데도, 개의치않고 유모차를 밀고 다니는 엄마들도 있었다. 하이드 파크는 차티스트 운동과 같은 영국 역사의 변곡점에서, 중요한 시위, 집회가 자주 열린 광장의 역할을 한 곳이다. 런던은 비교적 근대 건축물들이 보존이 잘되어있어, 거니는 족족 과거가 병존하는 느낌이 들었다. 하이드 파크는 풀이 거의 없는 개활지 같은 공원이었는데, 날이 맑았을 때 왔으면 또 달랐을 것..
일정도 계획도 없는 여행. 셋째 날도 밍기적대다가, 피카딜리 서커스가 가깝길래 산책 삼아 가보았다. 런던도 어떤 곳을 어떤 목적으로 여행하느냐에 따라 이동 수단도 천차 만별이겠지만, 시티 오브 런던 인근 지역만 주구장창 머무른 나에게 런던이라하면, 오직 걸어다닌 기억 밖에 없다. 피카딜리 서커스의 서커스는 라틴어로 원형 광장을 뜻한다. 원형 광장이라기보다는 교차로에 가까운 느낌인데, 미국 타임스퀘어와 같이 세계적인 기업들이 대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광고를 하고 있었다. 여행 당시가 2014년이라, 갤럭시 노트3 광고도, 현대자동차의 i40 광고도 볼 수 있었다. 현대자동차의 i30이 유럽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키던 시점이라 그런지, 여행 중에 i30을 우리 나라 내에서 보다 더 자주 보았는데, 한국 같은 대로..
선물용 와인을 구매하기 위해 방문한 곳. 인스타그램에서 유명한 브레드 앤 버터를 구매하기 위해 찾았다. 흔히들 알고있을 일마레와 같은 법인에서 운영을 하는지 입구가 같다. 지하 1층으로 가는 입구에 와인 모양의 게이트가 있으니 이를 이용해서 내려가면 된다. 위치는 서초역 8번 출구 바로 앞. 와인의 경우 매장마다 가격이 상이하기에 미리 전화를 해보고 방문하는 것을 추천. 브레드 앤 버터의 경우 45,000원에 판매 중이었고, 원할 경우 선물 포장도 가능하다.
그간 차량 정비에 관해서는 정비이력 관리가 되는 정식서비스센터만 이용하고 있었는데, 친구가 공임나라를 추천해주며 엔진 오일까지 주문해줬다. 부품 번호를 미리 확인하고, 네이버에서 제조사 정품 오일을 주문했고, 받은지 꽤 지났음에도 차일피일 미루다가 엔진오일 교체 주기가 다 된듯 싶어 시간을 내어 방문했다. 공임나라 양재점은 양재 꽃시장 맞은 편 주택가에 위치하고 있다. 사전에 공임나라 어플을 통해 사전예약을 하며 미리 차량 번호와 차종을 입력해둔 덕에 도착하자마자 작업을 진행했다. 예약은 9시부터 가능하고, 1시간 단위로 예약을 받는데 엔진 오일 같은 경정비는 보통 15분 정도면 충분하다. 늘 예약이 가득 차는 편이기에, 너무 늦지 않게 방문해야한다. 공임나라 양재점에서는 경정비 외에도 손세차 서비스를 ..
1. 한글, 워드, 파워포인트 공통 단축키 ■글자 편집 두껍게 : Ctrl + B(Bold) 밑줄 : Ctrl + U(Under line) 기울이기 : Ctrl + I(Italics) 크기 크게 : Ctrl + ] 크기 작게 : Ctrl + ] ■문서 편집 복사 : Ctrl + C(Copy) 붙여넣기 : Ctrl + V(V읏쳐 넣기) 저장 : Ctrl + S(Save) 되돌리기 : Ctrl + Z(Zero: 0으로 되돌리다) 자르기 : Ctrl + X(X : 가위모양) 찾기 : Ctrl + F(Find) 인쇄 : Ctrl + P(Print) 모두 선택 : Ctrl + A(All) 2. 한글에서만 사용되는 기본 단축키 ■글자편집 글자 모양 : Alt + L(Lettering) 자간 좁게 : Alt + Sh..
출퇴근하면서 이런 저런 팟캐스트들을 들을 때 사용하는 무선 이어폰. 무선 이어폰도 이제는 유선 이어폰에 버금갈 정도의 음질을 낸다. 특히 젠하이저의 이 무선 이어폰은 전문적으로 청음을 하는 수준이 아닌 나에게 있어서는, 요근래 사용해 본 이어폰 중에 가장 마음에 드는 제품이다. 직전에는 갤럭시 버즈, 아이팟 2세대, 보스, 소니의 넥밴드 WI-1000X, 뱅앤올룹슨의 E8 제품을 사용해보았다. 케이스는 C타입으로 충전되고, 무선 이어폰 케이스 중에는 드물게 패브릭 재질로 되어있다. 호불호가 갈릴 수 있겠지만, 내가 보았을 때는 무척 고급스러워 보인다. 최근작답게 범용 C타입을 통해 충전이 가능하다. 아직까지도 마이크로 5핀을 사용하는 제품이 많은데, C타입 포트를 통해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다. 외부 소..
한 번은 직장에 대한양궁협회 기술위원장이 강연을 온 적이 있다. 강연 주제는 '원칙을 지키는 삶'이었는데, 골자는 원칙을 지키는 것이 당장의 손해를 가져올 수는 있을 지언정, 결국에는 모두에게 이득을 가져다준다는 것이었다. 강연 중 인상깊었던 이야기가, 바로 양궁 국가대표 최현주에 대한 이야기이다. 선발전에서는 최정상의 기량을 보여주었지만, 정작 올림픽을 앞두고는 깊은 슬럼프에 빠진 탓에, 일각에서 대표선발을 다시 해야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되었던 것이다. 한국 양궁 대표팀에 승선하는 것이 올림픽 금메달보다 어렵다는 사실은 이미 스포츠팬 사이에서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전국체전에서는 만점을 쏘아도 금메달을 따지 못하는 일도 있다고 한다. 승선이 어려운만큼, 선발전에서 가장 잘 쏜 선수를 선발한다는 ..
고향 집에서 오래 전부터 현역으로 뛰고 있던 맥주컵. 이 때 우리 가족은 분명 롯데를 응원했는데, 애먼 OB의 컵이 떡하니 찬장 한 켠을 차지하고 눌러앉았을 줄이야. 아마도 아버지가 늘 일 마치고 돌아오시면 하이트 맥주 한 잔에 갓김치를 곁들여 반주를 하셨는데, 95년 10월 어느 날, 그 날따라 동네 점빵에 하이트가 없었던 모양이다. 장호연, 박철순, 심정수, 정수근. 기억에 남는 선수들은 이제 모두 은퇴하고 없다. 그들이 남긴 불멸의 기록들만 인구에 회자될 뿐. 찬장 구석에 쳐박혀 있던 걸, 우연한 기회에 발견해서 다시 서울 집으로 가져왔다. 26년의 시간이 지났음에도, 아직 프린팅도 멀쩡하고, 이가 나간 곳도 없다. 프로야구가 그 이후로 오랜 침체기를 겼었었는데, 프로야구 인기가 살아나고, 레트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