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 후 짐정리를 하다가 문득. 먼지 쌓인 CD들을 보았다. 간혹 좋아하는 음악가의 CD를 한 두장 사모으는 수준이었지만, 이마저도 이제는 처치 곤란이다. 3천원을 간신히 모아 만화책을 산 후 포장 비닐을 뜯을 때의 설레임. 몇끼를 굶은 돈으로 신보 CD를 사서 첫 트랙을 들을 때의 즐거움. 모든게 부족했기 때문에 더 만족스러웠다. 예전에는 그래도 이백장은 넘었던 것 같은데 주변에 나눠주고, 또 어떤 것은 팔고하다보니 남은 게 그리 많지는 않다. 그 때 섵불리 팔아버린 CD 중에는 브로콜리 너마저 1집같은 지금은 구할 수도 없는 음반들도 꽤 있었는데, 시간이 지나 다시보니 몇곱절로 가격이 뛰었다. 힙합 CD들도 오버클래스의 콜라쥬같이 소장가치 있다 생각되는 것을 빼고는 일본으로 이민간 친구에게 몽땅 줘버..
한 인간은 권력에 대해 '아니오'라고 말하는 것을 배움으로써, 즉 불복종 행위를 통해 자유로와질 수 있다. 불복종이 자유를 위한 조건이라면 동시에 자유 또한 불복종을 위한 조건이다. 만약 자유를 두려워한다면 감히 '아니오'라고 말할 수 없을 뿐더러 불복종할 용기도 가질 수 없게 된다. 사실 자유와 불복종의 능력은 불가분의 관계이다. 따라서 자유를 외치는 어떠한 사회적, 정치적, 종교적 체제도 불복종을 허락하지 않는 경우에는 결단코 진리를 말할 수 없다. -Erich Seligmann Fromm- 월가의 황소 불알을 만지기 위해 오늘도 사람들은 줄을 서고 있다. 탐욕은 인간의 본질이다. 불복종을 알지 못하면 자유를 누릴 자격이 없다는 데서, 안온한 일상 가운데서도 가끔은 죽비를 두드려줄 누군가가 필요할 뿐..